전체 글 (50) 썸네일형 리스트형 해외농업개발의 변천과 현황 1. 해외농업개발의 역사와 진출 유형 우리나라의 해외농업개발은 농업이민 형태로 시작되었다. 본격적으로 해외농업정책이 시작된 1960년대 이후부터 살펴보면 크게 1960~70년대에는 정부주도형 진출, 1980년대 이후부터의 민간주도형 진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부는 1960년대 해외이주법을 제정하여 중남미 국가를 대상으로 한 농업이민정책을 추진하였으며, 파라과이의 산 빼드로농장(1,500ha), 아르헨티나의 루한 농장(11ha), 아르헨티나의 야따마우까 농장(20,849ha), 칠레의 떼노 농장 등의 진출사례가 있다. 이들은 정부가 주도한 농업이민이었지만 영농활동이 적합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으며, 농장 규모가 지나치게 협소하거나 영농의지와 영농자금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대부분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 해외농업개발의 개념과 정의 1. 해외농업추진배경 우리나라는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함으로써, 전면적인 개방화 시대에 동창하게 되다. 농식품 산업 개방화의 물결을 타게 되면서 국내 농산업이 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는 견해와 세계화를 주도해나갈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는 견해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우리나라 농업은 경제성장을 위한 수단으로 삼기보다는, 국민에게 먹거리를 제공하고 삶의 질을 높여주는 산업으로 성장해 왔다. 최근에서야 농업이 갖는 다원적 기능을 국민적 공감대를 이끌어내면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생산지 개발과 적극적인 해외진출을 통해 성장 잠재력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해외농업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 등 주요 선행 국가와 경쟁해야 하는 등 세계 농업, 식량 시장에서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이다.. 이전 1 ··· 4 5 6 7 다음